2-3. <인사(정명)>
폐달사무 - 갈고닦음, 도달, 발달, 통달, 달통; 힘써 숙달 <심신수양>
비합교우 - 이루어짐, 병합, 통합, 융합, 집합; 어울려 결합 <정치외교>
간립당여 - 정리정돈, 서다, 정립, 확립, 세움; 굳게 세우다 <동아리설립>
신정거처 - 머무르다, 다스림, 결정, 평정, 안정; 자리잡다 <경영군림>
(사무-업무/실무, 교우-만남/단순사귐, 당여-공동체/동아리, 거처-정처/평정)
소양인의 폐달사무는 쉽게말해 일에 힘쓰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사회에서 실무능력을 갈고닦아 통달해 달인이 된다는 것이고 이것은 힘써 숙달함으로써 발달하고 도달하고 통달하여 달통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심신수양으로 용맹정진하는것도 일종의 폐달사무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태양인의 비합교우는 단순하게 말해서 우연히 만나서 사귀는 것을 의미합니다. 친숙하게 사귄다라기보다는 그냥 단순하게 이사람 저사람 다양하게 만나서 사귀는 것입니다. 그래서 교우는 친한 벗의 사귐을 의미하는 단어가 아니라, 우연히 만나서 사귀다라는 의미입니다. 한마디로 다양한 만남 그 자체가 교우입니다. 그런데 비합교우라 하였습니다. 다양한 만남을 어울려서 통합 융합 집합 병합으로 총합해 이루어짐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는 정치하고 관련이 있고, 더 광범위하게 보면 외교적 수완도 비합교우에 해당됩니다. 일반 정치가 백성들을 다스리는 국가정치라면, 외교는 자국의 정치지도자와 외국의 정치지도자 사이의 정치로서 그야말로 국제정치라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소음인의 간립당여는 교우하고 다릅니다. 정리정돈이 되어있기에 내편은 영원한 내편(무리짓기)이며 친분이 깊숙한 관계로서 소위 동아리설립도 그중 한 예이며, 라이벌관계와 친구관계가 바뀔 수 있는 그야말로 친분이 더 넓고 덜 깊은 교우하고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교우는 다양한 사람들과 어우러져 이루는 것이라면 당여는 정돈해서 굳게 세운다고 표현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태음인의 신정거처는 머무르는 것이기도 하고, 속된 말로 회사에서 사내정치로 집안단속을 하여 평정해 다스리는 것을 의미하며 그래서 정착하여 굳게 자리잡는 경영군림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정리하자면, 인사는 각 사상인별 두번째로 우월하게 타고나서 강하지도 약하지도 않고 사람과 사람과의 일을 겪어 갈고닦으면서 발전시키는 신체기능이라고 볼 수 있으며, 소양인의 사무는 실무능력으로 업무 즉 실무와 관련된 인사능력으로 일에 힘써서 갈고닦아 통달하는 것을 의미하기에 일머리가 가장 발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무능력이 열등한 태음인이 가장 일머리가 나쁘냐며 반문할 수 있는데, 실제 현장가보면 태음인들이 단순노무직 및 기타 생산직에서 일머리를 발휘하는 수완이 매우 뛰어남을 많이 볼 수 있기에 체질별 타고난 16가지 기능들은 그냥 상대적으로 가능성이 높다는 식의 참고 정도만 하고, 이론상 각 체질의 장단점의 우열도 없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태양인의 교우는 그냥 쉽게 말해서 다양하게 사귀는 단순한 만남 그 자체입니다. 친화력이니 케미니 이런것이 아니라, 그냥 사람들 많이 만나면서 시행착오 겪고 부딪히면서 갈고닦아 이루어지는 화합입니다. (그래서 태양인은 교우가 발달했어도 소음인과는 달리 융화력이 떨어진다고 기록본에 알려짐) 고로, 융화력/친화력 등 케미는 비합교우 태양인이 아니라 간립당여 소음인의 영역임을 알 수 있고 공동체를 지향합니다. 태음인의 거처는 정착하여 거처함을 갈고닦아 사내정치로 평정하는 다스림이기도 한데, 태음인이 남들위에 우뚝서서 자기를 높히는 존심과 탐내는 교심이 강해 권력욕 재물욕 색욕 등 탐욕이 강하고 일에 대한 탐욕도 강하여 거처는 한마디로 자기영역에서 자기를 높히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인사기능인 정명은 땅에서 인간의 일이자 운명이라 할 수 있고, 교우는 지도력, 사무는 노동력, 거처는 자본력, 당여는 친화력에 배속할 수 있는 것입니다.
'동양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명(命; 신명)> (1) | 2024.09.19 |
---|---|
2-4. <성(性; 심성)> (2) | 2024.09.19 |
2-2. <천기(천성)> (3) | 2024.09.14 |
동의(東醫) 내용 강의 2번째, 2-1. 성명론의 천기와 인사의 개요. (9) | 2024.09.14 |
동의수세보원(한약처방이론제외) 및 격치고(일부내용) 강의 2번째. (2) | 202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