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성명론의 천기와 인사의 개요.
천기 - 하늘의 기틀/이론/법칙/천성/이성; 대동(일관성, 거시적, 보편성, 성질)
인사 - 사람간의 일/현실/감성/정명/감정; 각립(다양성, 지엽적, 개별성, 재간)
(천기 - 지성至性의 덕 '천성' / 인사 - 정명正命의 도 '정명'; 기능, 타고난 성정性情)
(천기- 자연본질, 천재성, 성질 / 인사 - 사람을 만나고 배우며 갈고닦는 재주, 재간)
성명론은, 천성의 성 그리고 정명을 의미한다고 보시면 되는데, 천성이라는 것은 천부적으로 타고난 성품 즉 성질을 의미합니다. 태양인의 천성은 지혜(지)이므로 총명하여 지도력이 있고(이청천시), 소양인의 천성은 예의이므로 사회정의와 질서를 추구하며(목시세회), 태음인의 천성은 의리(의)이므로 인간과 인간사이에서 할 도리를 다하고자 하고(비후인륜), 소음인의 천성은 인애(인)이므로 어질고 따뜻한 자상함으로 품고자 합니다. 천기에 속한 이 천성은 하늘(조물주)에 속한 기틀이며 또한 하늘이 준 천재적인 달란트(재능)입니다. 그래서 천성은 이성적이므로 이론과 법칙과 관련된 일이며 각 사상인의 체질군의 사람들마다 크게 같습니다.(예를들어 모든 태양인들이 타고난 천시는 큰 틀에서 동일하게 타고남.) 그래서 이 천기에 속한 능력은 각 사상인에 속한 체질군에서 일관적이고 거시적이며 보편성이 있어, 선천적인 근본능력이며 가장 우월하게 타고난 기능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인사는 사람과 사람간의 일을 의미하며 인사라는 것은 인간이 행동으로 하기위해 필요한 재능 즉 재간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천기가 이성적 이론을 상징한다면 인사는 감정적인 현실을 상징하며, 감성적인 느낌과 뿜어져나오는 격정을 상징하기도 합니다.(태양인의 노정, 소양인의 애정, 태음인의 락정, 소음인의 희정) 그래서 이 인사에 속한 기능은 천성에 비해 적게 타고난 기능이고, 두번째로 우월한 기능이지만 갈고닦으며 발전시켜 나가야 하기때문에 각립한다고 말하는 것이고, 사상인별 각 인사기능 즉 사무와 교우와 당여와 거처는 발전양상이 각각 다양하게 나타나 세워지는 지엽적 능력으로 두번째로 우월하게 타고난 기능입니다. 그래서, 이 두번째 기능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일에서 얼마나 노력하느냐에 따라 발전의 정도는 천차만별로 다양하게 개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정명임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천시 세회 인륜 지방의 천기는 성명론에서 성명의 성으로 지성의 덕이라고도 하는데, '천성'으로서 말 그대로 천부적이고 선천적인 자연적 인식기능이며, 지극한 성질의 덕이기 때문에 가장 도덕적으로 잘 타고난 근본기능입니다. 그래서 태양인이 천성을 잘 펼치면 가장 지혜롭고, 소양인이 천성을 잘 펼치면 가장 예의바르며, 태음인이 천성을 잘 펼치면 가장 의리있고, 소음인이 천성을 잘 펼치면 가장 인애롭습니다. 물론, 폐비간신이 천재적으로 타고나는 인의예지 성질에 따르면, 태양인은 인자함을 타고났고 소양인은 의로움을 타고났으며 태음인은 예절을 타고났고 소음인은 지성을 타고났습니다. 그래서, 각각 작게 타고난 장기의 약함에 따라, 간이 약한 태양인은 무례하여 방종할 수 있고 신장이 약한 소양인은 무지하여 허영과 사치향락에 빠지기 쉬우며 폐가 약한 태음인은 어질지못해 극도로 탐욕을 부릴 수 있고 비위가 약한 소음인은 의롭지못해 지조를 버리고 작은 이익을 좀도둑질하기 쉬운 것입니다. 그래서, 예를들어 태양인의 폐장에 인자함을 사상인중 가장 우월하게 타고났으므로 천성을 잘 펼치면 머리에 신(정신, 지혜)이 형성되어 지혜로운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고, 소양인의 비장에 의로움을 사상인중 가장 우월하게 타고났으므로 천성을 잘 펼치면 상체에 기(기백, 예의)가 형성되어 사회정의와 질서를 위하여 정의감을 가지고 힘차게 일어난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태음인의 간장에 예절바름을 사상인중 가장 우월하게 타고났으므로 천성을 잘 펼치면 허리에 혈(혈액, 의리)이 형성되어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의 도리를 믿음직하게 주고받으며 정착하고자 하고, 소음인의 신장에 지혜로움을 사상인중 가장 우월하게 타고났으므로 천성을 잘 펼치면 하체에 정(정수, 인애)이 형성되어 땅의 소출을 누리고 또 발전및 생산하며 세상을 이롭게 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사무 교우 당여 거처의 인사는, 성명론에서 성명의 명으로 정명의 도라고도 하는데, '정명' 으로서 꾸준히 수행하면서 갈고닦고 발전시키며 땅에서 인간사이에서 발전시켜야 할 재능의 분야로서 곧 재간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기를 도를 닦는다고 할때 그 갈고닦음이기도 한데, 가장 우월하게 타고나지는 않았지만 학습하면서 발전시키는 것이므로,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부딪혀가며 몸으로 익히고 또 행동으로 실천하면서 때론 시행착오도 겪어가며 발전시키는 분야입니다. 그래서 같은체질군에서도 발전양상은 각립하는 것이고 다양하게 개별적으로 나타납니다. 다시말해서 사람을 만나면서 부딪히기도 하고 갈등을 겪기도하며 배우고 개선하고 보완하는 분야가 사무 교우 당여 거처이기때문에 잘 타고난 재능(재주, 재간)을 썩힐수도 있고 아니면 잘 발현시켜서 타고난 인사기능을 잘 발휘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천기가 천재적으로 타고난 선천적 천성인 성질이라면, 인사는 땅에서 인간과 인간사이에서 후천적 학습으로 갈고닦으며 단련시켜야 할 재주인 재간을 의미합니다. 천재성과 재주는 약간 다르지만 천재성(성질)이 큰 노력없이 드러나는 능력이라면, 재주(재간)는 사람에 따라 각각 다르게 발전할 수도 있고 좋은재주가 빛을 보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흔히 말하기로도 아무리 천부적인 재능을 타고난 천재도 많은 노력끝에 탄생한다고들 말을 하는 것이지 않겠습니까? 결국, 요약하자면 성명론에서 성은 천재성이자 이성이자 하늘의 이치를 인지할 수 있는 도덕적 성질이고, 명은 도를닦으며 발전시키는 재주이자 감정이자 하늘의 이치를 수행으로 실천하는 재간입니다. 그리고 명은 운명을 뜻하기도 하는데, 각 사상인들의 정체성입니다. 태양인의 교우는 정치(종교), 소양인의 사무는 사회(노동), 태음인의 거처는 경제(부동산), 소음인의 당여는 문화(예술)입니다.
더 자세한 정리자료는 아래의 글들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브라만교 카스트 제도와 사상의학의 융합]
머리 - 브라만 / 불교의 승려 (종교지도자, 제사장 등) <사상의학에서 태양인 – 머리 발달>
가슴 - 크샤트리아 / 군사 (투사, 지배계층 등) <사상의학에서 소양인 – 어깨(팔) 발달>
배 - 바이샤 / 평민 (일반 백성, 서민 등) <사상의학에서 태음인 - 허리 발달>
발 - 수드라 / 노예 (노비, 천민 등) <사상의학에서 소음인 – 엉덩이(다리) 발달>
[사상인의 우열이 없고 각각 장단점있음을 가정하고 풀어본 사상의학 이론]
1. 브라만 신 - 지도자 유형(태양인)<하늘,우주,이청천시,신비추구> - 머리(목) 발달
정치(종교)[비합교우-통치] - 지혜로운 말로 명성 <권세추구> 선비(士, 미유럽성향),
지혜로운 수양(둔유방략)으로 절세의 행검(바른 품행).
봄/유년기/순수(천진난만)/아침(탄생)-새싹,
정치계는 인자한(仁) 지도자가 주도한다. - 국제적인일, 1000년대계, 측은지심(자비심)- 폐(肺)
성실하게 애쓴다.(哀) - 폐장/위완(온기)의 에너지는 신(神) - 영혼육의 영(정신)
선하고 행실바르며 비열하지 않으면 영웅호걸
(방종하지말것 / 술과 음식에 욕심내지말것 - 간국이 더 약화됨을 경고)
직관 –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번뜩이는 통찰력 / 신령한 예언과 창조적 지혜
항욕권세 – 낮은 지위로도 실권(실세)을 휘두르고 싶어한다. 이상주의적 영웅심.
항심급박지심 – 앞장서서 급히 서두르다 일을 그르친다. / 진(進)
2. 크샤트리아 신 - 무사 유형(소양인)<세상,공중,목시세회,아름다움추구> - 어깨(가슴팔) 발달
사회(노동)[폐달사무-실무감각] - 진실한 열정으로 명성 <명예추구> 농부(農, 한국성향),
예의로운 수양(요유재간)으로 절세의 도량(포용성).
여름/청년기/허풍(호언,허세)/점심(성장)-가지,
사회계는 의리있는(義) 무사가 주도한다. - 국가적인일, 100년대계, 수오지심(의협심)- 비(脾)
격렬하게 노한다.(怒) - 비장/위장(열기)의 에너지는 기(氣) - 영혼육의 혼(기백)
너그럽고 경박하게 날뛰지 않으면 영웅호걸
(경거망동하지말것 / 사치와 향락에 욕심내지말것 - 신국이 더 약화됨을 경고)
감정 – 다채롭게 꾸미고 치장하는 것 / 창의적 영감과 열정
항욕명예 – 재화가 적어도 명예를 굳세게 떨친다. 적은욕심 명예직.
항심구심 – 일을 크게 벌려놓고 두려워한다. / 거(擧)
3. 바이샤 신 - 재벌 유형(태음인)<사람,인간,비후인륜,도덕률추구> - 허리(배) 발달
경제(부동산)[신정거처-주거] - 자선활동으로 명성 <재화추구> 상업가(商, 중국성향),
의로운 수양(견유위의)으로 절세의 주책(계산적인 꾀).
가을/장년기/욕심(소유욕)/저녁(수확)-줄기,
경제계는 예절바른(禮) 재벌이 주도한다. - 가정적인일, 10년대계, 사양지심(양보심)- 간(肝)
푼푼히 쌓음을 기뻐한다.(喜) - 간장/소장(량기)의 에너지는 혈(血) - 영혼육의 육(혈육)
거만하지않고 탐욕을 미워하면 영웅호걸
(탐내지말것 / 재물과 돈에 욕심내지말것 - 폐국이 더 약화됨을 경고)
감각 – 익숙한 일을 기억하여 꾸준히 해내는 것 / 특출한 재능과 뚝심
항욕재화 – 명예가 작아도 재화의 풍요를 탐낸다. 탐욕스런 재물욕.
항심겁심 – 일을 시작하기도전에 겁낸다. / 정(靜)
4. 수드라 신 - 장인 유형(소음인)<땅,육지,구미지방,생산추구> - 엉덩이(다리) 발달
문화(예술)[간립당여-동아리] - 창작으로 명성 <지위추구> 공예가(工, 일본성향),
인애로운 수양(두유식견)으로 절세의 경륜(세밀한 계획).
겨울/노년기/은밀한 계략(비밀)/밤(저장)-뿌리,
문화계는 지혜있는(智) 장인이 주도한다. - 개인적인일, 1년대계, 시비지심(분별심)- 신(腎)
푹 빠져 즐긴다.(樂) - 신장/대장(한기)의 에너지는 정(精) - 영혼육의 육(골육)
선한사람을 질투하지않고 나약한 기회주의를 피하면 영웅호걸
(비굴하지말것 / 요직과 권좌에 욕심내지말것 - 비국이 더 약화됨을 경고)
사고 – 이론적으로 생각하여 창작해내는 것 / 기술과 예술
항욕지위 – 높은 지위에 올라 안락한 부귀영화를 누리려한다. 현실주의적 출세욕.
항심불안정지심 – 일에 앞장서기를 불안해하며 얌전히 있는다. / 처(處)
태양인의 배꼽 제유행검은 다름이아니라 행동점검 즉 솔선수범(정치/종교)을 말한다.
소양인의 배 복유도량은 다름이아니라 포괄적인 이해심(사회/국방)을 말한다.
태음인의 턱 함유주책은 다름이아니라 이해득실의 셈법(경제/부동산)을 말한다.
소음인의 가슴 억유경륜은 다름이아니라 노련한 전문성(문화/예술)을 말한다.
'동양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인사(정명)> (2) | 2024.09.14 |
---|---|
2-2. <천기(천성)> (3) | 2024.09.14 |
동의수세보원(한약처방이론제외) 및 격치고(일부내용) 강의 2번째. (2) | 2024.01.30 |
1-29. 인터넷에서 퍼온 사상의학 해석내용의 대중적 수정보완 (1) | 2023.12.26 |
1-28. 사상유형별 공부방법인 학문사변을 대중적인 표현으로 요약 (1)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