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2-4. <성(性; 심성)>

목양자 강풍호 2024. 9. 19. 16:01
반응형

2-4. <성(性; 심성) - 존기심 양기성; 마음을 보존해 성을 기른다. 지성의 덕.>

 

심성 - 박통, 두루통하는 지성(지), 보편성 일관성, 혜각(도덕 품성; 덕)

 

함유주책 - 턱에서 나오는 계산적인 꾀, 주판알 굴리기

억유경륜 - 가슴에서 나오는 노련한 경험의 연륜, 노익장

제유행검 - 배꼽에서 나오는 예의바른 품행, 바른행동 실천

복유도량 - 배에서 나오는 인애로운 포용성, 너그러움

 

주책이 부정적으로 발현되면 교심; 교만, 거만

경륜이 부정적으로 발현되면 긍심; 자긍, 긍지

행검이 부정적으로 발현되면 벌심; 정벌, 토벌

도량이 부정적으로 발현되면 과심; 과시, 과장

 

교심 - 의(意), 의식, 의향, 의도; 지향성 방향성 포부 큰뜻

긍심 - 려(慮), 사려, 배려, 고려; 이리저리 재봄, 고심, 신중함

벌심 - 조(操), 거조, 절조, 지조; 굳건한 절제, 억제된 욕망

과심 - 지(志), 심지, 언지, 투지; 본심의 행동, 굳센기백, 의분

 

 

심성이라는 것은, 지향하지만 노력해도 쉽게 잘 되지않는 분야인, 사상인들 각각의 가장 열등하게 타고난 분야를 의미합니다. 태음인은 턱이 가장 약하게 타고나 턱선의 날렵함이 약하고, 소음인은 가슴둘레가 약하며, 태양인은 배꼽이 빈약해 보이며, 소양인은 아랫배가 홀쭉합니다. 그런데, 이 약한 부분을 각 사상인마다 마음을 보존에 성을 기르면(존기심 양기성) 이것이 바로 심성이고 지성의 덕(德)이 되는 것입니다. 심성이란 박통 즉 두루통하는 지성을 의미합니다. 보편적이고 일관적으로 통하여 깨닫는 혜각의 기능이며 도덕적 품성을 의미합니다. 심성이 어질다 의롭다 예의바르다 지혜롭다는 것은 마음의 지향이 그러하긴 한데, 실제로는 노력해야 할 분야인 것이지요. 쉽게말해 "그래도 '심성'은 착하다" 라는 말은 실제로 완벽하게 착한 것은 아니지만 근본적으로 지향하여 힘쓰는 성품임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태음인의 턱에 있는 주책을 함유주책이라 하며 턱에서 나오는 계산적인 꾀를 한마디로 주판알 굴리기로 비유할 수 있고, 소음인의 가슴에 있는 경륜을 억유경륜이라 하며 가슴에서 나오는 노련한 경험의 연륜을 한마디로 노익장으로 비유할 수 있으며, 태양인의 배꼽에 있는 행검을 제유행검이라 하며 배꼽에서 나오는 예의바른 품행을 한마디로 바른행동 실천으로 비유할 수 있고, 소양인의 아랫배에 있는 도량을 복유도량이라 하며 아랫배에서 나오는 인애로운 포용성을 한마디로 너그러움 즉 이해심으로 비유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상인이 각 노력으로 박통분야를 이루게 되면 절세의 주책, 경륜, 행검, 도량을 갖추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노력하지않아 각 심성이 부정적으로 발현되면, 태음인은 주책이 아닌 교심이 발동하는데 이 교심이란 교만과 거만을 의미합니다. 태음인은 용모사기와 체형기상이 비대하며 웅장하고 남들위에 우뚝서서 자기에게로 유도하려는 성향이 있어 교만하기 쉽습니다. 소음인은 경륜이 아닌 긍심이 발동되는데 이 긍심이란 자긍과 긍지를 의미합니다. 경험과 실력이 충분하지 않음에도 자긍하여 잘난체하고 뿌듯한 긍지를 갖는 것인데 소음인은 용모사기와 체형기상이 남에게 피해주지않고 자상하게 대하며 잘 달래어 자기를 따르게 하는 성향이 있어 자긍하기 쉽습니다. 태양인은 행검이 아닌 벌심이 발동되는데 이 벌심이란 정벌과 토벌을 의미합니다. 태양인은 용모사기와 체형기상이 건장하여 상대방을 자기에게로 끌어모아 지배함으로 사람들을 흡수해 맞아들이는 성향이있어 정복하려하기 쉽습니다. 소양인은 도량이 아닌 과심이 발동되는데 이 과심이란 과시와 과장을 의미합니다. 소양인은 용모사기와 체형기상이 날렵하고 법식과 법도에 맞게대하는 성향이 있어 허례허식으로 과시하기 쉽습니다. 교심의 태음인은 약하게 타고난 의식 의향 의도로 지향성 방향성 포부 큰뜻으로 탐욕을 위해 욕심내는 경우입니다. 긍심의 소음인은 약하게 타고난 사려 배려 고려로 이리저리 재보며 간보고 신중하게 고심하고 정작 결단은 나약한 경우입니다. 벌심의 태양인은 약하게 타고난 거조 절조 지조로 굳건하게 절제하여 냉혹하고 더러운 경우입니다. 과심의 소양인은 약하게 타고난 심지 언지 투지로 본심의 행동을위해 굳센기백으로 가볍게 의분하는 경우입니다.

반응형